MKGA : K - pop 의 위대한 재건

MKGA : K - pop 의 위대한 재건

[리포트 정리 im 증권]

 

 

주요 핵심 내용


1. K-팝의 성장 모멘텀
   - BTS/블랙핑크 완전체 활동 재개로 긍정적 효과 기대.
   - 신인 그룹의 일본 투어 확장 및 굿즈 판매를 통한 안정적 수익 확보.
   - 7년차 이하 그룹 의 북미 침투율 상승 이 중요한 성장 동력.

2. 미국 음악 시장 특징과 전략
   - 미국 음악 시장은 80% 이상이 **스트리밍 중심**이므로 스트리밍 성과와 라이트 팬덤 확대가 중요.
   - 소셜 미디어(TikTok/YouTube) 영향력이 북미 투어 확장의 핵심 지표.
   - 공연을 통해 신규 팬 유입 및 굿즈/콘텐츠 소비로 " 매출 구조 다변화 " 필요.

3. 빌보드 Hot 100 진입 전략
   - 비영어곡 진입이 어려워 , 언어 현지화(영어 앨범, 콜라보) 와 플랫폼 알고리즘 최적화 전략이 중요.
   - 현지화된 그룹의 빠른 시장 침투는 TAM 확장 측면에서 긍정적.

4. 추천 기업: 하이브와 에스엠
   - 하이브: BTS와 강력한 아티스트 라인업으로 북미 시장에서 지속 성장 가능.
   - 에스엠 : 에스파를 중심으로 서구권 진출 확대, 실적 개선 기대(디어유 편입, 자회사 정리 등).
   - 한한령 해제 시 중국 투어 재개로 큰 수혜 예상.

 


1. 2003년~2015년: 음악 산업의 감소   
   - CD 등 피지컬 앨범 판매 감소 및 디지털 다운로드 대체 부족.
   - 불법 다운로드와 파일 공유로 인해 음악 산업의 수익 악화.

2. 2016년 이후: 음악 산업 규모 증가   
   - 스트리밍 서비스(Spotify, Apple Music 등)의 대중화로 사용자들이 구독 기반으로 음악을 소비.
   - 스트리밍은 합법적이고 접근성이 뛰어나 불법 다운로드를 대체.
   - 광고 기반 및 유료 구독 모델로 안정적인 매출 확보.

3. 2024년: 스트리밍의 지배적 비중  
   - 스트리밍이 전체 음악 산업의 60% 이상을 차지하며 성장 견인.
   - 다른 수익원(피지컬 앨범, 다운로드 등)의 감소를 상쇄.

4. 결론   
   - 음악 산업의 성장은 스트리밍 서비스의 대중화와 스마트폰 보급률 증가에 힘입어 소비 패턴 변화로 이어짐.
   - 스트리밍은 글로벌 음악 시장 회복과 확장에 크게 기여.

 

그래프 분석 및 주요 특징
1. 2019~2021년: MD 매출 완만한 상승세   
   - 팬덤 기반 MD 소비는 꾸준했지만, 코로나19 팬데믹으로 오프라인 이벤트 제한이 큰 폭의 성장을 막음.

2. 2022년: MD 매출 급증
   - 코로나19 완화로 오프라인 콘서트, 팬미팅 재개가 주요 원인.  
   - HYBE는 BTS 팬덤을 기반으로 대규모 콘서트 및 다양한 MD 출시로 매출 급증.  
   - 글로벌 팬덤 확산과 온라인 MD 판매 활성화.

3. 2023년: HYBE의 MD 매출 감소
   - BTS 멤버들의 군 복무로 인한 활동 공백이 MD 수요 감소에 영향.  
   - 반면 SM, JYP, YG는 지속적인 아티스트 활동으로 안정적 매출 유지.

4. 2024년: YG의 MD 매출 감소
   - BLACKPINK 활동 공백, 계약 문제, 신작 발표 부족이 주요 요인.  
   - HYBE는 BTS 복귀 준비와 새로운 아티스트 활동으로 매출 상승세 회복.

5. 정리하면...   
   - 2022년에는 팬데믹 완화로 MD 매출 급증.  
   - 2023년에는 HYBE가 BTS 활동 공백으로 감소.  
   - 2024년에는 YG가 주요 아티스트 활동 부족으로 감소 추정.

 

2024년 SM 과 YG 의 매출 감소 이유:
- SM:   
  - NCT와 aespa의 월드투어 부재 및 주요 아티스트 활동 공백.  
  - 경영권 분쟁으로 내부 혼란 발생.  

- YG:   
  - BLACKPINK의 그룹 활동 중단 및 솔로 활동 집중.  
  - 새로운 아티스트 부족과 기존 아티스트 활동 제한.  

2024년 HYBE 와 JYP 의 매출 상승 이유:
- HYBE:   
  - BTS 외 SEVENTEEN, ENHYPEN, TXT의 활발한 월드투어.  
  - 북미, 유럽 등 글로벌 콘서트 확대.  

- JYP:   
  - Stray Kids와 TWICE의 성공적인 월드투어.  
  - NMIXX와 ITZY의 활발한 활동으로 팬덤 확장 및 콘서트 매출 기여.  

2025년 이후 전망:   
- HYBE: BTS 복귀와 함께 대규모 월드투어로 매출 급증 예상.  
- SM: NCT, aespa 중심의 대규모 투어 재개 및 30주년 기념 프로젝트 효과 기대.  
- JYP: 신규 보이그룹 KickFlip 데뷔 및 기존 그룹의 지속적인 글로벌 투어로 성장 전망.  
- YG: BLACKPINK 재결합과 BabyMonster의 첫 월드투어로 매출 회복 가능성 큼.  

2024년 SM과 YG는 아티스트 활동 공백으로 콘서트 매출이 감소했지만, HYBE와 JYP는 다양한 아티스트와 글로벌 투어 확대로 성장세를 유지.

2025년 이후에는 각 기획사가 주요 아티스트 활동 재개 및 신규 그룹 데뷔를 통해 매출 회복과 성장이 기대.

 

※ 투자 의견 


1. 기획사 주가 상승 배경   
   - 2017년 이후: 일본 시장 매출 본격화로 시가총액 1조원 → 3조원 증가.  
   - 2020년 이후: BTS 북미 성공과 팬 플랫폼 사업 개화로 시가총액 10조원까지 성장.  

2. 실적 및 밸류에이션 상승   
   - 2018년: 4사 합산 영업이익 전년 대비 2배 증가.  
   - 2023년: 2020년 대비 영업이익 3배 증가.  
   - 일본 진출 모멘텀(12MF P/E 평균 20~30배)과 미국 진출 모멘텀(30~40배)이 밸류에이션을 뒷받침.

3. 주가 하락 요인   
   - 한한령, 노재팬 등 수출국 매크로 이슈.  
   - 주요 보이그룹 군 입대 및 앨범 판매량 감소로 실적 역성장 우려.  
   - 2024년 4사 실적 역성장 및 주가 약 46% 하락.

4. 주가를 움직이는 3가지 핵심 요인   
   - 글로벌 음악 시장(특히 미국)에서의 성공.  
   - 신인 그룹의 수익화로 메가 IP 의존도 완화.  
   - 중국 공연 재개 등 신규 성장 동력.

5. 커버리지 내 탑픽: 하이브와 SM   
   - 하이브: BTS와 강력한 아티스트 라인업으로 미국 내 지속 성장 가능.  
   - SM: aespa를 통한 서구권 진출 본격화 및 신인 그룹 초기 지표 긍정적.  
   - 실적 개선 모멘텀, IP 포트폴리오 활용 및 중국 투어 재개로 성장 기대.

 

BTS 외 아티스트 의 북미 침투율 상승이 다음 성장 모멘텀


1. 일본 시장의 K팝 강점:  
   - 일본은 아이돌 문화가 익숙하고 K팝 팬덤이 견고하며, MD 판매 및 투어 개최에 유리한 마진 구조를 가지고 있음.

2. 미국 시장에서의 성과와 과제:  
   - BTS를 중심으로 북미 시장 침투가 용이해졌으며, 미국 앨범 판매 상위권에서 K팝이 강세(10위권 내 7개).  
   - 미국 음악 시장은 80% 이상이 스트리밍 중심이므로, 라이트 팬덤 유입과 스트리밍 성과 및 소셜 미디어 영향력 강화가 중요.  

3. 투어를 통한 수익 극대화:  
   - 하이브는 [다이나믹 프라이싱] 을 활용하여 티켓 매출 극대화(2023년 슈가 투어 사례: 티켓 가격 200만 원 이상 상승).  
   - 투어 규모 확대는 MD 판매, 음악/영상 콘텐츠, 스폰서십 광고 등 부가 수익 매출 증가로 이어짐.  

4. 앨범 판매 증가 사례 :  
   - 테일러 스위프트의 경우, 대규모 투어 진행 후 앨범 판매량이 기존 60만 장에서 150만 장으로 증가.  
   - MD 성격이 강한 앨범도 투어를 통해 신규 팬덤 유입으로 판매량 증가 가능.  

** K팝 핵심 지표 5가지

1. 소셜미디어 영향력

2. 음원 스트리밍

3. 음반 판매량

4. 콘서트 매출 및 관객 동원력

5. 챠트 성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