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설/부동산 : 아파트 멀리보기 , 현대차증권 리포트

건설/부동산 

아파트 시장의 미래를 멀리 내다보다

 

** 핵심 요약

 

1. 주택 투자 가치의 장기적 소멸:

  • 전국 가구 수는 2042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, 이는 주택 수요의 구조적인 감소로 이어질 것.
  • 거래량 감소, 가격 변동성 축소, 환금성 저하 등으로 투자 자산으로서의 매력을 잃게 될 것.
  • 다주택자의 임대 어려움 역시 주택 투자 감소를 부추길 것으로 예상.

2.일본과 유사한 주택관:

  • 주택을 바라보는 시각이 일본과 유사하게 변할 것으로 예상.
  • 과거 투자 자산으로 여겨지던 주택은 점차 소모성 자산, 감가상각 대상 자산으로 인식될 것.
  • 하지만 한국은 기업화된 재건축 시장 덕분에 일본처럼 장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은 낮음.

3. 잉여 주택 처분과 똘똘한 한 채 투자:

  • 사라진 투자 유인은 잉여 주택 처분을 유발하고, 확보한 처분 이익은 똘똘한 한 채에 투자될 것.
  • 다주택 상속 포기 및 구조적 수요 감소로 인해 확보한 자금은 고급 주택 퀄리티를 높이는 데 활용될 것.
  • 이는 고급 주택 수요 증가로 이어지며, 전체 주택 수요 감소와는 대조적인 모습.

4. 인구 구조 변화 속 주택 시장:

  •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주택 시장은 활발하게 돌아가고 있슴.
  • 가구 수 증가, '좋은 집' 선호 현상, 신축 주택 선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.
  •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인구 감소가 주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.

5. 고급 주택 시장의 성장:

  • 구조적인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고급 주택 시장은 견조한 성장세를 보일 것.
  • 고액 자산가들의 증가, 제한적인 공급, 차별화된 상품 구성 등이 고급 주택 시장의 투자 가치를 유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.

6. 주택 투자, 이제는 살기 좋은 집으로:

  • 앞으로는 "사기 좋은 (Buy)" 주택보다는 "살기 좋은 (Live)" 주택에 집중해야 함.
  • 투자 목적보다는 실거주 가치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것이 현명한 전략이 될 것.

7. 일본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?:

  • 인구 감소 외에도 경제 상황, 정책, 사회적 요인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일본 부동산 시장이 붕괴 됨.
  • 한국은 기업화된 재건축 시장 덕분에 일본과 같은 장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은 낮지만,
  • 주택을 대하는 태도는 일본과 유사하게 변해갈 것.

** 결론 및 투자 전략:

앞으로 주택은 투자 목적보다는 사용 가치에 집중될 것이라고 예측.

투자 가치를 노릴 수 있는 시장은 고급 주택 시장에 한정될 것,

재건축을 통해 가치가 상승하는 아파트에 주목해야 함.

장기적으로는 고급 주택 시장이 확대될 것이며,

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건설사들은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.

투자자들은 실거주 가치를 중시하며 고급 주택 시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슴.